본문 바로가기

ETC16

[HTTP] HTTP Request Method 종류와 설명 HTTP Request Method 서버에서 주어진 리소스에 수행하길 원하는 행동을 나타낸다. 메소드에 따라 서버에서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작되었지만, GET과 POST이외에는 찾아보기 힘들다. 1. GET 리소스를 검색하고, 반환받기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원하는 정보를 서버에 요청할 때 쓰인다. (일반적으로) 리소스의 위치를 URL에서 쿼리로 표현하기 때문에 RequestBody가 없다. 2. HEAD 서버의 각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GET과 동일하지만, response에 Body가 없고 response Code와 Head만 응답받는다. 3. POST 요청된 자원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POST로 정보를 전송하면 URL에 파라미터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각.. 2020. 5. 15.
[HTTP] HTTP Request Message 구조 HTTP HTTP는 Hyper Text Tranfer Protocol의 약자로, www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응용계층에 속하며 80번 포트를 사용해서 통신한다. (HTTPs는 443번 포트를 사용한다.) HTTP Request Message format HTTP는 Request를 전송하고, Response를 전송받는 형태이며, HTTP Request Message는 Start Line, Headers, Message Body로 이루어져있다. (Header와 Body 사이에는 한 줄의 공백이 있다.) 1. Request Start Line Request Start Line은 HTTP Method와 Request Target, 프로토콜 버전으로 구성되어있다. HTTP Method는 G.. 2020. 5. 15.
[유니티] 게임에서 Vector의 내적, 외적이 갖는 의의 보통 고등학교 때 기하와 벡터를 다루며 기본적으로 내적과 외적을 배우는데, 다들 전문적인 물리 엔진 제작과 같은 전문적인 업무가 아니면 쓸모없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단순한 작업에서도 간간히 쓰이곤 한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게임 제작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내적, 외적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보려 한다. 우선 내적과 외적을 구하는 방법이나, 등장하는 단어의 의미를 모른다면 다른 포스트에서 기본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오도록 하자. 내적 우선 내적에 대해 기본적인 것만 설명 하자면, 내적은 A*B = |A| * |B| * cosX 이다. A벡터와 B벡터의 크기에 코사인 값을 곱한 것이다. 1. 두 벡터 사이의 각도 첫 번째로 두 벡터 사이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 |A| 와 |B|를 반대쪽으로 이항한 후 코사인.. 2020. 2. 29.
[유니티] 마우스 방향으로 2D Object 회전시키는 방법 유니티 카테고리 안에 있지만 사실은 거의 수학적인 내용이다. 개발을 하다보면 2D object를 회전시켜야 할 일이 있는데, 우리가 보통 object에서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은 위치값 또는 벡터 값이다. 위치를 원점에서의 벡터라고 생각한다면 사실상 두 값의 의미는 같다. 오늘 구현하고자 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와같이 마우스 커서의 이동에 따라 오브젝트를 움직이는 것이다. 3D같은경우는 Lookat 등을 써서 target과 player 사이에 손쉽게 해결하는 것 같지만 위와 같은 경우는 다르다. 1. Vector 값이 world 좌표가 아닌 screen의 좌표 값이다. 2. 입체적으로 회전하는 3D와 다르게 Z축만을 회전시켜 구현해야 한다. 이 두 가지가 다르기 때문에 직접 구현했다. floa.. 2020. 2. 29.
[웹 보안] SQL Injection 웹 보안 카테고리 안에 포스팅을 했지만, sql injection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 모델이라면 언제나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간단하게 결론부터 말하자면 SQL injection은 DB에접근할 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값이 쿼리문에 포함될 때 악의적으로 입력값을 설정해서 쿼리문을 조작해, 비정상적으로 DB를 동작시키는 해킹 방법이다. 여기서 우리는 SQL injection의 두가지 전제조건을 발견할 수 있다. 1.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고, 모델과 연동되어야한다. ( 당연하다. 애초에 쿼리문을 조작하는 해킹방법인데 DB가 없다면 모순) 2. 사용자의 입력 값이 쿼리문에 포함되어야 한다. 유감스럽게도, 대부분의 웹 어플리케이션은 위 두 조건을 만족한다. 로그인 기능 하나만으로도 위 두 조건은 충족시킬 .. 2020. 2. 24.
[유니티] Lerp 와 Slerp 의 차이 - 선형 보간, 구면 선형 보간 유니티의 Vector3 에는 Lerp, Slerp라는 함수가 있다. 두 함수 모두 선형보간을 해서 두 지점사이의 위치를 계산하는 함수지만 두 함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이 차이를 이해하려면 우선 선형 보간과 구면 선형 보간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 이 포스트의 주제이기도 한 선형 보간과 구면 선형 보간의 차이를 알아보자. 선형 보간 (Linear interpolate) 선형 보간은 매우 간단한 개념이다. 두 지점을 선형으로 연결해서 두 지점사이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유니티에서 사용할 때는 a와 b 지점 사이의 길이를 1로 두고, f값에 따라 그에 비례한 위치를 Vector3로 반환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구면 선형 보간 (Spherically interpolate) 구면 선형 보간은 두.. 2020. 2. 12.